본문 바로가기
4대보험 잡학사전

국민연금 납부 내역 조회 하는 방법(+국민연금 납부 확인서 발급 방법)

by ㅎ ㅐ ㅍ ㅣㄴ ㅣ 스 2023. 9.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알쓸4잡입니다. 연금을 받고 싶은데 그전에 내가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연금보험료를 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내가 연금보험료를 얼마 정도 냈는지 몇 년 정도 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요.

 

국민연금 납부 내역 조회 하는 방법(+국민연금 납부 확인서 발급 방법)

 

일반적으로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10년 이상을 납입해야만 합니다. 1년이 12개월이니 한 달에 한 번 납입하는 것으로 계산해보면 10년간 120번을 납입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국민연금 납부 내역 조회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 내역 조회

내가 연금보험료를 얼마나 납부 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우선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https://www.nps.or.kr)로 접속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금부터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캡처 화면을 통해서 하나씩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메인 화면에서 자주 찾는 서비스 중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2. 그 다음 나오는 화면에서 '가입·납부내역 조회'를 클릭합니다. 

3. 그 다음에는 로그인을 해야 한다는 페이지가 나오는데요. 발급받아 두신 공동인증서를 이용해도 되고, 간편 인증(카카오톡, 네이버 등)을 이용해서 로그인하셔도 됩니다. 편한 방법을 이용하여 로그인 진행 하시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긴 합니다. 

4. 로그인에 성공하셨다면, 그 다음 나오는 화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캡처한 화면과 같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죠? 이렇게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납부 확인서 발급 방법 

그 다음으로 국민연금 납부 확인서 발급 방법을 살펴볼 텐데요. 이 경우는 위의 사이트가 아닌 국민연금 전자민원서비스(https://minwon.nps.or.kr/)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캡쳐 화면을 보여드리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메인 화면에서 상단에 있는 '개인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2. 그 다음 화면에서 스크롤을 내려 보면 각종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거기서 '소득공제용 납부확인서 조회/증명'을 클릭합니다. 

3. 로그인을 하라고 나오는데요.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로그인 진행하면 됩니다. 

 

4. 그 다음 화면에서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에 대해서 동의함을 선택하시고, 하단부에 있는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5. 이제 거의 다 왔는데요. 프린터 발급을 누르시면 됩니다. 

6. 발급 용도를 '개인 확인용 / 공공기관 제출용 / 금융기관 제출용 / 기타' 중 하나로 선택하시고요. 저는 '개인 확인용'을 선택해봤습니다. 

 

7. 좌측 상단에 프린터 모양을 클릭해주시면 납부 확인서를 출력하고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읽어보니 어떠세요? 어렵지 않죠? 가파르지 않은 계단을 한 개씩 올라간다는 마음으로 해 보시면 어렵지 않게 국민연금 납부 내역 확인 및 납부 확인서 발급을 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 글은 여기까지로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이 글이 유익했으면 좋겠네요. 저는 4대 보험 관련 다른 포스팅으로 찾아오도록 할게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1) 국민연금개혁안 내용
2) 귀농인들이 꼭 알아야 할 꿀팁!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국고보조
3)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지원 대상, 혜택, 지원 방법 총정리
4) 국민연금, 언제 돌려 받을 수 있나요
5) 국민연금 연금보험료 지역가입자 지원
6) 국민연금에 대해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