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에 저는 기관지가 안 좋아서 이비인후과에 많이 갔었는데요. 그때마다 부모님이 챙기셨던 것이 있었어요. 바로 건강보험증이었는데, 그게 있어야 보험을 적용받아서 병원에서 진료비나 치료비를 덜 낼 수 있다고 했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사회보장제도 중, 국민건강보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국민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큰 진료비로 가계에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의 개요
우리나라는 국민건강보험을 통해 모든 국민들이 서로의 위험을 나누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위해서 국민들은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이 보험금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필요한 경우 보험급여를 제공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국민들의 진료비 부담을 줄여줘요.
국민건강보험의 역사
국민건강보험은 1977년에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500명 이상의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장의료보험제도가 시작되었어요. 이후에는 다양한 집단들이 포함되어 전 국민 의료보험 시대가 열렸습니다.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300명 이상의 사업장 근로자들에게도 보험이 확대되었고, 농어촌지역 의료보험과 도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의료보험이 시행되었습니다.
1998년 10월에는 지역의료보험조합과 공무원 교원 의료보험 공단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으로 통합하였으며, 2000년 7월에는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의료보험조합을 단일조직으로 통합하면서 의료보험이 건강보험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이때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국민건강보험의 대상
국민건강보험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적용대상을 구분합니다. 직장가입자는 사업장의 근로자 및 사용자, 공무원 및 교직원, 그리고 그 가족들을 포함합니다. 그리고 지역가입자는 직장가입자를 제외한 다른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서 피부양자라는 특별한 그룹이 있습니다. 피부양자는 직장가입자에 의해 주로 생계를 유지하는 가족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보수나 소득이 없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피부양자에는 직장가입자의 배우자, 자녀, 자녀의 배우자, 형제, 자매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직장에 들어가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되었다면, 저의 아내나 아들 딸들은 피부양자로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국민건강보험의 중요성
국민건강보험은 우리나라의 중요한 사회보장제도로서, 모든 국민들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게 해줍니다.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비용을 서로 나누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가계에 과도한 부담을 막아줍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서 우리나라의 병원비가 저렴하게 느껴지는 것도 국민건강보험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국민건강보험은 누구나 평등하게 보험에 가입하여 안심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특정 나이가 되면 건강 검진을 받도록 하죠. 그리고 병원 가서 내게 되는 진료비를 일부 부담해 주기도 하고요. 국민건강보험 덕분에 우리 국민들이 보다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 아닐까요?
마지막으로 요약해 보면, 국민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진료비 부담을 분담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중요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 모든 국민들이 보험료를 내고 서로의 건강을 지키며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거죠. 사회의 구성원 중 어느 하나 빠지는 사람 없이 모두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건강한 삶을 함께 살아간다면 좋을 것 같아요.
'4대보험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보험의 목적 및 근로자와 사업주에게 돌아가는 혜택 (0) | 2023.08.06 |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 발급 방법 (0) | 2023.08.05 |
두루누리 사회보험료(고용보험, 국민연금) 지원사업에 대해서 (0) | 2023.08.03 |
국민연금, 언제 돌려 받을 수 있나요 (연금급여의 종류와 지급 시기) (0) | 2023.08.01 |
국민연금 연금보험료 지역가입자 지원(지원 대상, 지원 방법 등) (0) | 2023.07.30 |